여러분 그거 아시나요? 아직도 국민연금 개혁이 되고 있지 않습니다. 논의 중인 안들은 미래 세대에게는 터무니없는 안들이고, 그마저도 그러한 안들이 우선순위에 올랐었죠. 저도 제가 국민연금을 앞으로 얼마나 내야 하는지, 미래에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국민연금 수령나이를 알아보고 싶어서 찾아봤는데, 얼마 전에 토스에서 국민연금 조회 서비스가 나와서 글을 써봅니다.
토스를 켭니다.
없으신 분들은 토스를 앱스토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합니다.


토스 회원가입/로그인 진행 후, 하단 바에서 "전체" 탭을 찾아 클릭합니다.

위 이미지에서 "연금 준비" 메뉴를 클릭합니다.

"내가 받을 국민연금" 메뉴 옆의 "확인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국민연금공단을 통해 토스가 조회해서 대신해서 알아봐 줍니다. "동의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자 이제, 64세부터 매달 받을 수 있는 연금의 금액, 지금까지 낸 국민연금, 앞으로 낼 국민연금, 받을 국민연금의 총금액도 나옵니다!
저는 노후 생활비 월 261만 원에도 못 미치네요.. 제가 나이가 들어 연금 받을 때가 되면 인플레이션 때문에 월 500만 원 정도는 받아야 할 텐데.. 지금 수준으로는 택도 없습니다. 허허. 하루빨리 국민연금 개혁이 됐으면 좋겠네요.
국민연금 수령액에 영향을 주는 요인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입 기간(납부 기간)
•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이 길수록 연금 수령액이 증가합니다.
• 최소 가입 기간인 10년을 충족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으며, 가입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령액이 많아집니다.
2. 납부한 보험료(소득 기준)
•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신고한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결정됩니다.
• 소득이 높을수록 납부하는 보험료도 많아지고, 이에 따라 연금 수령액도 증가합니다.
3. 가입자 유형
• 사업장 가입자: 근로소득이 있는 직장인의 경우, 회사와 본인이 보험료를 절반씩 부담합니다.
• 지역 가입자: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등 개인이 직접 보험료 전액을 납부합니다.
• 임의 가입자: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국민연금 가입 대상이 아니더라도 본인이 희망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4. 수급 개시 연령
• 국민연금은 만 60세 이후부터 받을 수 있으며, 출생 연도에 따라 수급 개시 연령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조기 노령연금을 신청하면 수급 연령보다 일찍 받을 수 있지만 수령액이 감소하며, 반대로 연기연금(최대 5년)을 신청하면 연금액이 증가합니다.
5. 물가 상승률 반영 여부
• 국민연금은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지급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금액이 인상될 수 있습니다.
6. 부양가족 연금 추가 혜택
• 배우자, 자녀, 부모 등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일부 추가 연금이 지급될 수도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개인별 예상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 개화시기 (2025년) (2) | 2025.02.15 |
---|---|
퇴직연금 연말정산 공제, 이거 보고 최대 115만원 공제받자 (0) | 2025.02.15 |
연말정산 결정세액&기납부세액 차이와 환급금액 덜 돌려받는게 좋을까? 더 돌려받는게 좋을까? (0) | 2025.02.14 |
[전자담배 리뷰] - '아스파이어 클라우드 플라스크' (0) | 2021.03.07 |
[소고] 생각과 말하기를 꺼려하는 사람들에 대한 고찰 (1) | 2020.08.17 |